특수한 장소 (경사로,
지하층) 에 설치하는
특수한 형상 (폐기물,
골재덤프) 의 트럭스케일
1, 철제 교량에 설치한 트럭스케일드셀 방식의 사일로 계량기
<철제 교량에 트럭스케일을 설치합니다>
트럭스케일에 계량 할 차량은 덤프(40톤)입니다.
교량의 구조는 기둥과 상판의 주 빔은 덤프에충분히 견딜 수 있는
구조성능을 확보한 것으로 해석되나,상부철판이 4.5t무늬판으로
구조내력이 부족하여 12t철판으로 보강하였습니다.
계량방식은 동하중(무정차)계량 방식을 채택하였습니다.
<로드셀판을 설치하고 No1 계량판을 설치합니다.>
<No2 계량판을 설치합니다.>
<Ramp를 설치하였습니다.>
<계량판의 “요동 방지장치”를 설치한 동하중 트럭스케일입니다.>
VIDEO
<동하중 계량 화면입니다.>
덤프의 구동과 중량변화를 동시에 촬영하기위하여
컴퓨터 모니터를 촬영하였습니다.
중량 Display는 일정구간의 평균값을 표시하므로 최대값에서
계량수치가 정지합니다.
이때 최대값을 계량값으로 잡아서 DATA처리합니다.
<설치 후 3년>
<설치 후 4년>
설치현장이 골재(모래)채취장으로서 덤프 출하시에 세륜이 필수인데
세륜기가 고장이나서 계근대에 물을부어서 세륜기로 활용하고 있었습니다.
당사의 트럭스케일은 방수성능이 탁월함으로 세륜기로 활용이 가능합니다.
2, 실내(지하층)에 폐기물 계량용 트럭스케일을 설치합니다.
<지하층에 트럭스케일을 설치합니다.>
대형건물(A P T 포함)은 지하층에서 폐기물 처리를 하므로 계근대도
지하층에 설치할 필요가 있습니다.
건물 내부에서의 시공 안전관리를 간편하게 하기위하여
화기(산소절단기, 용접기, Grander)를 사용하지않는 구조로
구조개선을하여 신속하게 설치하였습니다.
<좌 측면 사진>
<정면 사진>
<우 측면 사진>
무인계량설비(카메라 2대 포함)와 계량Booth도 설치하였습니다.
설치 현장관리측에서 설치작업중에 사진촬영을 금지한것이 아쉽습니다.
3. OIL Tank 상부에 트럭스케일을 설치합니다.
<Base Plate 설치>
Oil Tank 상부 노면에 Base Plate를 설치합니다.
<Scale 설치 -1>
<Scale 설치 -2>
<검정>
<Scale 설치 완료, 정상 계량>
제주항 입구에 설치한 계근대로서 1일 200대 이상 계근합니다.
4. 경사(傾斜)가있는 아스콘 노면에 트럭스케일을 설치합니다.
신규 공장의 진입로(아스콘 노면)에 트럭스케일을 설치합니다.
Ramp는 Rame Frame을 철제로 설치하면 아스콘을 타설하여 Ramp를
구성하기로 하였습니다.
<Base Plate를 설치합니다>
Plate에 아스콘 Spike를 타입(打入)하고, Plate에 용접하여
Plate의 Level과 수평을 맞춥니다.
그 다음 그라우트레미탈로 틈을 메꾸어서 고정합니다.
<No 1 계량판 설치>
<No 2 계량판 설치>
<아스콘 Ramp Frame 설치>
Ramp용 아스콘을 타설하기위한 Frane을 설치합니다.
아스콘을 진동타설하므로 이때 Frame이 밀려나지 않도록 튼튼하게
제작, 설치하여야합니다.
<아스콘을 Ramp Frame에 타설하여 계근대를 완성합니다.>
<아스콘 Ramp가있는 계근대 전경>
<계근대 전경 –2>
5. 측방향 경사가 있고 과속 방지턱이 있는
아스콘 노면에 트럭스케일을 설치합니다.
<Scale 설치면적에 Base Plate를 배치합니다.>
사진에서 우측방향에 하수구가있으며 하수구쪽으로 경사가있습니다.
또한 과속방지턱이 있음으로 Plate를 높게 설치하여 과속방지턱을
계량판이 접촉하지않게 설치 하였습니다.
(설치장소는 가락시장 북문 출구입니다.)
<아스콘스파이크 삽입>
<No1 계량판 설치>
<No2 계량판 설치>
<경사 아스콘에 트럭스케일 설치>
<계량>
<계량 화면>
6. 레미콘 공장에 콘크리트 트럭스케일 설치
<트럭스케일 부품(자재) 현장 입고>
당사 트럭스케일의 부품(또는 설치 자재)는
1) 계량판 2개(철재 트럭스케일도 같음), 16m는 3개
계량판은 구조빔과 레미콘 타설용 하부 마감판,
콘크리트 균열 방지용 철근으로 구성됩니다.
(로드셀 Bracket은 고장력강으로 별도 제작하여 부착합니다.)
2) Ramp Frame 4개
3) Base Plate 6개(16m는 8개)
4) 그라우트 레미탈(당사는 “한일시멘트의 QP600”을 사용합니다.)
5) 로드셀, 인디케이터 등입니다.
<계량판 설치>
<계량판 설치 -2>
<레미콘 타설>
레미콘은 40MPa, 슬럼프15cm를 사용합니다.
<레미콘 양생 완료>
<검정>
<콘크리트 트럭스케일 설치 완료>
트럭스케일 주변에 배수로를 확실하게 조성했습니다.
7, 16m 콘크리트 트럭스케일
B. C. T. 계량용 동하중 트럭스케일입니다.
<16m 콘크리트 트럭스케일>
<검정>
VIDEO
<B. C. T, 동하중 계량>
8. 동하중, 콘크리트 트럭스케일을 경사로에 설치했습니다.
Scale을 설치한 경사로는 골재차량이 골재장으로 올라가는 도로입니다.
경사로의 경사도는 8도입니다.
<계량판 Frame과 Ramp frame을 설치>
<레미콘 타설, 양생중>
<검정>
VIDEO
<동하중 계량>
오르막길에서의 동하중 측정오차는 –20kg정도입니다.
(Scale이 수평한 경우는 오차가 없는데 경사로에서 오차가 발생하는 원인은
덤프가 가속하면서 주행하므로 계량판의 요동방지장치의 접촉저항이
오차발생의 원인으로 해석합니다.)
VIDEO
<동하중 계량 -2>
9. 콘크리트 트럭스케일을 암벽(岩壁)에 설치했습니다.
Scale을 설치할 도로가 좁아서 도로경계석과 조경 구조물 일부를 철거하고
계근대를 설치하니 암벽위에 Scale을 설치한 결과가 되었습니다.
<계근대 설치면적 확보를 위하여 조경구조물 일부 철거>
<조경구조물, 도로경계석 철거 잔재물 제거작업>
<Base Plate 배치>
<계량판 Frame 설치>
<암벽에 계근대 설치>
<암벽에 계근대 설치 -2>
10. 2단경사면(경사도 3%, 5%)에 동하중 트럭스케일을 설치했습니다.
<경사도 3%, 5%로 꺽인 노면에 Scale을 설치합니다.>
<검정>
VIDEO
VIDEO
<동하중 계량>
(트럭이 Scale을 통과하면 계량이 완료됩니다.)
VIDEO
<덤프가 주행 중에도 측정(무게)값이 정지합니다.>
<악천후에도 AS는 멈출 수 없습니다.>
계근대는 화물차(덤프 포함)의 무게를 측정하는 저울입니다.
계근대 설치장소는
교량, 실내(지하층), Oil Tank 상면, 아스콘 노면, 경사로, 암벽 등을
가리지않고 차량이 주행 가능한곳 이면(기초공사 없이) 계근대 설치도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
<영업상담 : 010-5389-1085>